잡다한 정보방

블로그 이미지
by 행복회로 풀가동

TAG CLOUD

  • Total hit
  • Today hit
  • Yesterday hit

 

1번.다이렉트 케이블과 크로스 케이블의 용도

 

2번.다이렉트 케이블의 양 쯕 선 배열

 

3번.케이블의 양쪽 끝부분을 스트리퍼로 벗겨낸다.(이때 내부의 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4번:케이블의 양쪽 긑을 색상별(주,파,녹,갈)로 분류후 꼬여있는 선을 푼다.
 선이 꼬여있는 이러한 구조를 트위스트 페어라도 지칭하며 이는 선로의 잡음 및 유도를 줄이기 위해 사용한다.

 

선을 배치한다.(흰주,주,흰녹,파,흰파,녹,흰갈,갈)
//주파녹갈->흰주 주 흰파 파 흰녹 녹 흰갈 갈에서
 흰파와 흰녹을 바꾸면 쉽다.

 

5번:가지런히 정리하고 RJ에 넣을부분을 고려하여 재단한다. 이때 선의 길이는 일치하는 것이 좋다.

 

6번:RJ45를 삽입한다.(RJ 232C는 4핀이며 이는 전화선으로 주로 사용됨)
 이때 평평한 면의 왼쪽부터 (흰주,주,흰녹,파,흰파,녹,흰갈,갈) 에 맞도록 꼽는다.
 가능하면 금색 끝부분까지 삽입한다.

 

7번:랜툴기로 찍어낸다. (너무 약하게 찍을시 랜선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랜툴기의 종류에 따라서 스트리퍼대신 사용할 수 있는 종류도 있다.

 

Direct 케이블의 경우 다른 한 쪽도 똑같은 방법으로 만든다.
Crooss 케이블의 경우 다른 한 쪽은 (흰녹,녹,흰주,파,흰파,주,흰갈,갈)으로 배치한다.

 

 

LAN 케이블 제작 방법 순서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예상문제  (0) 2018.06.01
클래스와 IP주소  (0) 2018.06.01
AND

ARTICLE CATEGORY

분류 전체보기 (27)
전력전기전자 (1)
건강정보 (4)
잡다한 지식 (2)
자동차 (5)
IT (3)
리눅스 (1)
네트워크 (3)
프로그래밍 언어 (4)
웹 지식(ver22년도) (3)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CALENDAR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