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다한 정보방

블로그 이미지
by 행복회로 풀가동

TAG CLOUD

  • Total hit
  • Today hit
  • Yesterday hit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7건

  1. 2018.06.01
    클래스와 IP주소
  2. 2018.06.01
    LAN 케이블 제작
  3. 2018.05.24
    자바프로그래밍 (입력받은)10진수를 2진수로 변환-동적배열
  4. 2018.05.24
    자바프로그래밍 (입력받은)10진수를 2진수로 변환-정적배열
  5. 2018.05.24
    자바 프로그래밍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정적배열
  6. 2018.05.19
    C언어 Stack클래스의 구조
  7. 2018.05.19
    리눅스 커널 부팅 순서에 대해 알아보자
  8. 2018.05.19
    수동회로와 능동회로에 대해서 알아보자(기초편)
  9. 2018.05.10
    조향 장치
  10. 2018.05.10
    사용연료에 따른 엔진 분류 및 분석

공인ip - A 클래스 : 0 ~ 126 ,

B클래스 : 128 ~ 191,

C클래스 : 192-223,

D클래스 : 224~239 ,

E클래스: 240-255까지입니다. 02/05 22:36

 

비공인IP - A클래스 : 10.0.0.0 ~ 10.255.255.255

B클래스 : 172.16.0.0 ~ 172.31.255.255

C클래스 : 192.168.0.0 ~ 192.168.255.255 입니다.

바로 님이 사용하신 번호는 B클래스에 해당하는 비공인 IP 인셈입니다. 02/05 22:38

 

비공인 IP는 돈을 주지 않아도 LAN에서 언제든지 쓸 수 있는 IP 이므로 인

터넷를 나가지 않은 상태 사용할 수 있는 IP이기 때문입니다.. 02/05 22:40

 

0.0.0.255 wildcard 라고 하는데 보통 예약 된 주소입니다... 각 클래스 마다 .. 예약 번호들이 있습니다.

보통 크게는 0.0.0.0 , 127.0.0.1 , 255.255.255.2555 이 세가지 이구요.. 세부적으로 보면 각 클래스마다의 범위가 다 예약된 번호가 있습니다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02/05 22:42

 

제외되는 주소에 대한 추가내용 - 제외되는 주소는 네트워크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는 주소이며 A 클래스 부터 C클래스 까지 공통 사항입니다. 각 클래스 마다 나타낼 수 있는 최대 네트워크 수 및 호스트 수는 해당 주소를 포기는 비트수를 2의 비트수승하여 -2한 값과 같습니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02/05 22:44

 

- 127.0.0.1 네트워크 : 루프백 주소 , 테스토용, 자기 자신을 말합니다.

- 각 클래스 마다 HOST 주소가 모두 0 인 것 : 해당 호스트, 즉 바로 " 이 호스트"를 의미함

- 각 클래스 마다 HOST 주소가 모두 1 (or 255) 인 것 : 특정 네트워크의 모든 호스트를 의미함

- 각 클래스 마다 Network 주소가 모두 0 인 것 : 해당 네트워크, 즉 바로 " 이 네트워크"를 의미

- 각 클래스 마다 Network 주소가 모두 1 인 것 : 모든 네트워크를 의미함

- 각 클래스 마다 IP 주소가 모두 0 인 것 : 디폴트 라우터(기본경로)를 의미함

- 각 클래스 마다 IP 주소가 모두 1 인 것 : 현재 네트워크의 모든 호스트에 브로드캐스 주소로 사용함

위의 네용이 세부적인 예약된 주소로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 IP 배당은 하지 못하는 주소입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예상문제  (0) 2018.06.01
LAN 케이블 제작  (0) 2018.06.01
AND

 

1번.다이렉트 케이블과 크로스 케이블의 용도

 

2번.다이렉트 케이블의 양 쯕 선 배열

 

3번.케이블의 양쪽 끝부분을 스트리퍼로 벗겨낸다.(이때 내부의 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4번:케이블의 양쪽 긑을 색상별(주,파,녹,갈)로 분류후 꼬여있는 선을 푼다.
 선이 꼬여있는 이러한 구조를 트위스트 페어라도 지칭하며 이는 선로의 잡음 및 유도를 줄이기 위해 사용한다.

 

선을 배치한다.(흰주,주,흰녹,파,흰파,녹,흰갈,갈)
//주파녹갈->흰주 주 흰파 파 흰녹 녹 흰갈 갈에서
 흰파와 흰녹을 바꾸면 쉽다.

 

5번:가지런히 정리하고 RJ에 넣을부분을 고려하여 재단한다. 이때 선의 길이는 일치하는 것이 좋다.

 

6번:RJ45를 삽입한다.(RJ 232C는 4핀이며 이는 전화선으로 주로 사용됨)
 이때 평평한 면의 왼쪽부터 (흰주,주,흰녹,파,흰파,녹,흰갈,갈) 에 맞도록 꼽는다.
 가능하면 금색 끝부분까지 삽입한다.

 

7번:랜툴기로 찍어낸다. (너무 약하게 찍을시 랜선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랜툴기의 종류에 따라서 스트리퍼대신 사용할 수 있는 종류도 있다.

 

Direct 케이블의 경우 다른 한 쪽도 똑같은 방법으로 만든다.
Crooss 케이블의 경우 다른 한 쪽은 (흰녹,녹,흰주,파,흰파,주,흰갈,갈)으로 배치한다.

 

 

LAN 케이블 제작 방법 순서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예상문제  (0) 2018.06.01
클래스와 IP주소  (0) 2018.06.01
AND

키보드로 입력받고 동적배열:10진수 동적을 참고
//변수값을 가지며(Scanner) 동적배열(ArrayList),for문의 경우 동적배열의 크기 이용

package javaproj; //키보드로 정수값을 입력받기,동적배열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HelloJava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ArrayList<Integer> binArray=new ArrayList<Integer>();


  System.out.print("10진수를 입력하시오:");

 

  Scanner sc=new Scanner(System.in);


  int num=sc.nextInt();


  int i=0;

 

  while(num!=0)


  {


  binArray.add(num%2);


  num=num/2;


  i++;


  }

 

  for(int j=binArray.size()-1;j>=0;j--)


  {


  System.out.print(binArray.get(j)+"");


  }

 

 }

 

}

 

AND

키보드로 입력받고 정적배열,length를 사용할 것. 예:for(int k=rest.length-1;~):


//변수값을 가지며(Scanner) 정적배열,for문의 경우 length를 사용

 

package javaproj;  //키보드로 정수값을 입력받기,정적배열(단,length를 사용할 것)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HelloJava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System.out.println("10진수를 입력하시오");

 

  Scanner sc=new Scanner(System.in);


  int array[] =new int[10];


  int num=sc.nextInt();


  int i=0;

 

  while(num!=0)


  {


  array[i]=num%2;


  num=num/2;


  i++;


  }

 

  for(int j=array.length-1;j>=0;j--)


  {


  System.out.println(array[j]);


  }

 

 }

 

}

 

AND

package javaproj; //상수값을 2진수로 만들기,정적배열  

public class HelloJava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int Value=100;


  int i=0;


  int [] rest=new int [20];

 

  while(Value!=0)


  {


  rest[i]=Value%2;


  Value=Value/2;


  i++;


  }
  
       
  for(int j=19;j>=0;j--)


  {


  System.out.println(rest[j]);


  }

 


 }

 

}


 

AND

.스택 클래스의 UML클래스 다이어그램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class Stack

{

protected:

int m_size;

int m_top;

int m_buffer;

 

public:

void Initialize(int size=10);

void Remove All();

bool Push(int value);

bool Pop(int& value);

};

 

void Stack::Initialize(int size)

{

m_size=size;

m_top=-1;

m_buffer=new int[m_size];

memset=(m_buffer,0,sizeof(int)*m_size);

}

 

void Stack::Remove All()

{

m_size=0;

m_top=-1;

delete [] m_buffer;

m_buffer=NULL;

}

 

 

 

 

 

 

 

bool Stack::Push(int value)

{

if(m_top>=m_size-1) return false;

m_buffer[++m_top]=value;

return true;

}

 

bool Stack::Pop(int& value)

{

if(m_top<0) return false;

value=m_buffer[m_top--];

return true;

}

 

int main()

{

stack s1;

s1.Initialize(5);

while(s1.Push(rand()%100));

cout<<“s1에 저장된 데이터 : ”;

for(int 1=0;i<s1.m_size;i++)

cout<<s1.m_buffer[i]<<“ ”;

cout<<“\n”;

cout<<“s1에서 꺼낸 데이터 : ”;

int data;

while(s1.Pop(data))

cout<<data<<“ ”;

cout<<“\n”;

 

system(“pause”);

return 0;

}

 

 

 

AND

리눅스 프로그래밍

 

 

과제명:리눅스 부팅 순서

*부팅:보조기억장치인 하드디스크 또는 플로피 디스크를 사용하여 컴퓨터가 동작할 수 있게 운영체제를 불러 들이는 작업

 

1.PC의 전원버튼을 누른다.

 

2.ROM-BIOS(Basic Input Output System)에 지정된 부팅 드라이브로 부팅 시작

 

3.하드디스크나 플로피,CD-ROM등의 0번 섹터의 부트 프로그램을 읽음

(하드디스크의 0번 섹터를 MBR(Master Boot Record)라고 함)

(부트섹터엔 리눅스를 위한 LILOGRUB등이 있거나,NT,OS/2등 다른 운영체제가 있을 수 있음

4.사용자는 LILO에 실행시키기 원하는 커널의 이미지를 옵션값과 함께 넘겨줌

 

5.LILO는 해당 커널의 이미지를 로딩해서 실행

(기본 설정은 /vminuz 또는 /boot/vminuz 이미지가 메모리에 로드 및 실행)

(vminuz는 리눅스 커널의 압축 이미지)

 

6.swapper라고 불리우는 프로세스 id 0인 프로세스가 실행 됨

(메모리 관리,디스크 관리,프로세스 관리 수행)

 

7.swapper 프로세스는 프로세스 id 1init라는 프로세스를 실행 후 swapper 역할만 수행

 

8.프로세스 id 1init 프로세스는 /etc/inittab 파일을 참조하여 사용자들을 위해

시스템을 설정(pid 0인 프로세스가 초기화한 커널의 바탕에서 나머지 작업 수행)

1)기본적인 PATH 설정

2)/etc/sysconfig/network 파일이 있으면 그 스크립트를 실행

3)키맵의 로딩

4)시스템 폰트의 로딩

5)스왑 영역의 활성화

6)디스크 검사(fsck)

7)/proc 파일 시스템의 마운트

8)루트 파일 시스템을 rw모드로 다시 마운트

9)/etc/HOSTNAME 파일의 설정

10)/etc/mtab파일에 루트와 /proc 파일 시스템의 엔트리 추가

11)커널 모듈 로드

12)시스템 시간 설정

13)서버 데몬 실행

9.init 프로세스가 자신에게 할당된 초기화 과정을 모두 끝마치고 나면 inittab 파일의

맨 끝부분에 명시된 것처럼 mingetty 혹은 getty 프로세스를 실행

1)pid 0의 프로세스에 의해 실행된 initfork()시스템 콜을 수행

2)fork()에 의해 생성된 자신 initexec()시스템 콜을 이용해서 getty 혹은 mingetty등의 프로세스 수행

 

10.getty는 화면에 login:을 띄우고서 사용자의 userid가 입력되기를 기다림

 

11.사용자가 userid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getty/bin/login을 실행시키게 됨

 

12./bin/login 프로그램은 password:라는 프롬프트를 띄우고 사용자의 password 입력을

기다림

 

13.사용자가 암호를 입력하면 /etc/passwd 또는 /etc/shadow 파일과 일치하는지 비교

1)만약 일치하지 않으면 login 프로그램은 에러를 내고 종료함

2)init 프로세스는 다시 자신을 folk()하고

3)/sbin/getty 프로그램을 exec()해서 화면에 로그인 프롬프트를 띄어 다시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림

 

14.패스워드가 일치하면 login 프로그램은 홈 디렉토리를 바꾸는 등 여러 가지 작업을 하고

최종적으로 exec()를 하여 로그인 쉘을 띄움

 

15.사용자는 자신의 쉘로 작업을 함

1)쉘에서 입력하는 명령어들은 먼저 쉘이 folk()를 해서 자식 프로세스 생성

2)자식 프로세스가 exec()를 해서 실행되고 종료됨

 

 

*folk() 시스템 콜과 exec() 시스템콜의 차이

둘 다 한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시스템 호출

 

(1)folk() 시스템 콜

1)새로운 프로세스를 위해 메모리 할당

2)folk()를 호출한 프로세스를 새로운 공간으로 모두 복사

3)원래 프로세스는 원래 프로세스대로 실행되고,folk()를 이용해서 생성된 프로세스도 실행이 됨

 

(2)exec() 시스템 콜

1)exec()를 호출한 프로세스의 메모리에 새로운 프로세스의 코드를 덮어씌움

(folk()처럼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지 않음)

2)exec()를 호출한 프로세스가 아닌 exec()에 의해 호출된 프로세스만 남게 됨

AND

수동필터와 능동필터 비교 및 각 필터의 2차 회로

 

1.능동 필터 vs 수동 필터

전기회로 부품만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필터를 수동 필터라고 하며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필터를 능동 필터라고 한다. , 수동필터란 필터링 역량이 단지 수동 소자, 예컨데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에만 종속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필터가 얻을 수 있는 출력의 가장 큰 진폭은 보통 1이며 임피던스를 전원과 직렬로 연결하거나 부하를 병렬로 연결할 경우 그 진폭은 감소한다. 수동필터에서 유일하게 출력을 증폭시킬 수 있는 필터는 직렬RLC 공진회로이며 그 외에는 전부 출력의 진폭을 감소하게 된다.

 

2.필터

입력이 출력에 전달되는 신호는 통과대역이라 부르는 주파수 대역 내에 들어있다. 이 대역의 밖에 속한 입력 전압은 회로에 의하여 그 크기가 줄어들고, 따라서 회로의 출력단에 이르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회로의 통과대역에 속하지 않는 주파수는 차단대역에 속한다. 주파수 선택성 회로는 통과대역의 위치에 따라 분류된다.

 

주파수 선택성 회로의 유형을 구분하는 한 가지 방법은 주파수 응답도를 검사하는 것으로 주파수 응답도는 회로의 전달 함수(진폭과 위상 둘다)가 전원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준다. 주파수 응답도는 진폭노라고 불리는 부분과 위상각도라고 불리는 부분을 갖는다.

 

네 가지 주요 회로의 이상적인 주파수 응답도는 아래와 같다.

(a)(b)는 각각 이상적인 저역통과 필터와 고역통과 필터를 나타내며 두 필터는 하나의 통과대역과 차단대역을 가지며 이들은 차단 주파수에 의하여 분리된다. 저역통과 및 고역통과라는 이름은 진폭도에서 유래한다. 즉 저역통과 필터는 입력에서 출력까지 차단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의 신호를 통과시킨다. 따라서 저역 및 고역이라는 뜻은 주파수의 특정 절대값이 아니라 차단 주파수에 대한 상대적인 값을 의미한다.

 

(c)(d)는 각각 2개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다. (c)는 대역통과필터의 이상적인 주파수 응답도이며 전원 주파수가 2개의 차단 주파수로 정해지는 대역 내에 속할 때만 전원 전압을 출력으로 통과시킨다. (d)는 대역차단 필터의 이상적인 주파수 응답도이며 2개의 차단 주파수로 정의되는 대역의 바깥에 속하는 주파수의 전원만을 출력으로 통과시킨다. 따라서 대역차단 필터는 전원의 주파수가 차단 주파수에 의하여 정의되는 대역 내에 속할 때 전원 전압이 출력에 전달되는 것을 거부 또는 차단시킨다.

 

2-1)저역통과 필터

인덕터의 임피던스는 jωL으로써 낮은 주파수에서는 인덕터의 임피던스는 저항의 임피던스와 비교하면 매우 작고,단락 회로와 같은 기능을 한다. 낮은 주파수란 ωL<<R을 만족시키는 주파수를 뜻하며 ω=0일 때의 등가회로에서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은 크기와 위상각이 같다. ->그림(b)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인덕터의 임피던스는 저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인덕터 임피던스의 증가는 인덕터 전압 강하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그에 따른 출력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또한 인덕터의 전압과 전류 사이의 위상각의 천이를 유발한다. 이는 곳 입력과 출력 전압 사이의 위상차를 생성하며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 위상 지연은 90°에 가까워진다.

높은 주파수에서 인덕터의 임피던스는 저항의 임피던스에 비하여 매우 크고 그 결과 인덕터는 개방 회로로 작용해서 회로의 전류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높은 주파수란 ωL>>R을 만족시키는 주파수를 뜻하며 ω=일 때의 등가회로에서 출력 전압은 0이며 출력 전압의 위상각은 입력 전압보다 90°이상 음이다. ->그림(c)

 

 

 

 

 

 

 

 

2-2)고역통과 필터

저역통과 필터 회로와 반대로 여기서는 출력 전압이 커패시터가 아닌 저항 양단에 정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패시터 임피던스의 효과가 저역통과 필터 형태일 때와는 다르다.

ω=0일 때, 커패시터는 개방 회로로 동작하므로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없고 따라서 저항에 전압이 걸리지 않고,회로의 낮은 주파수 전원 전압이 출력에 도달하지 전에 걸러진다. ->그림(b)

전압 전원의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커패시터의 임피던스는 저항의 임피던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출력 전압 크기는 증가하기 시작한다.

ω=(전원의 주파수가 무한대)가 되면 커패시터는 단락 회로로 동작하고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은 없다.이 상태에서는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이 같다. ->그림(c)

전원과 출력 전압 사이의 위상각 차이도 전원의 주파수가 변함에 따라 바뀌며 ω=일 때는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이 같으므로 위상각 차이는 0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원의 주파수가 줄어들고 커패시터의 임피던스가 증가함에 따라 커패시터의 전압과 전류 사이에 위상천이가 나타난다. 이는 전원과 출력 전압 사이의 위상차를 발생시키며 ω=0일 때, 이 위상각 차는 최대 +90°에 달한다.

,출력이 저항의 저항으로 정의될 때, 직렬RC회로는 고역통과 필터로 동작한다. 소자와 연결방식은 저역통과 직렬 RC회로와 같지만 출력의 선택이 다른 상황이다.

 

 

 

 

 

 

 

 

 

2-3)대역통과 필터

주파수 대역 내의 전압을 출력에 통과시키고, 대역 밖의 주파수를 갖는 전압을 걸래는 필터로써 저역통과 필터난 고역통과 필터보다 복잡하다. 이상적인 대역통과 필터는 통과대역을 구분 짓는 2개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다.

대역통과 필터를 특징짓는 세 가지 파라미터가 있다.

중심주파수 ωₒ:회로의 전달 함수가 실수가 되는 주파수로 정의된다. 중심 주파수는 공명 주파수라고도 하며 이는 중심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인 까닭에 2차 회로의 고유 응답을 특징짓는 주파수에 붙여진 이름과 같다. 중심주파수는 통과대역의 기하학적 중심으로서 ωₒ는 두 개의 차단 주파수를 곱하고 루트를 씌운 값이다. 대역통과 필터는 전달 함수의 크기가 중심 주파수에서 최대이다.

대역폭:통과대역의 너비

품질지수:대역폭에 대한 중심 주파수의 비,품질 지수는 통과대역의 너비의 척도가 된다.

 

전원 주파수를 바꾸는 것은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임피던스가 바뀌는 결과를 초래한다.ω=0일 때, 커패시터는 개방회로로 동작하고 인덕터는 단락 회로와 같이 동작한다. 커패시터의 임피던스를 표현하는 개방 회로는 전류가 저항에 이르는 것을 방해하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출력 전압은 0이다. ->그림(b)

ω=일 때,커패시터는 단락회로로 동작하고 인덕터는 개방 회로와 같이 동작한다. 여기서는 인덕터가 저항의 전류 흐름을 방해하고, 출력 전압은 0이다. ->그림(c)

ω=0 ω=사이에서의 주파수 영역에 대해서 살펴볼 때 두 극단 사이에서는 커패시터와 인덕터 둘 다 유한한 임피던스를 갖는다. , 전원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압이 인덕터와 커패시터에서 전압 강하를 일으키고, 저항에도 전압이 발생한다. 커패시터의 임피던스는 음이고, 인덕터의 임피던스는 양이므로 어떤 주파수에서는 커패시터의 임피던스와 인덕터의 임피던스의 크기가 같고 부호가 반대이다. 이 경우 2개의 임피던스는 상쇄되고, 출력 전압이 전원 전압과 같게 되는 현상을 일으킨다. 이러한 특별한 주파수가 중심 주파수 ω₀이다. ω₀의 좌우에서는 언제나 출력전압이 전원 전압보다 작다.

 

 

전원과 출력 전압이 같은 주파수에서 위상각은 같다. 주파수가 감소함에 따라, 커패시터의 위상각은 인덕터의 위상각보다 커진다. 커패시터가 양의 위상 천이를 더하므로, 출력의 위상각은 양이다. 매우 낮은 주파수에서는 출력의 위상각이 최대값인 +90°가 된다.

반대로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인덕터의 위상각이 커패시터보다 커진다. 인덕터가 음의 위상 천이를 기여하므로, 출력의 위상은 음이 된다. 매우 높은 주파수에서는 출력의 위상각이 최대값인 -90°가 된다.

 

 

 

2-4)대역차단 필터

두 차단 주파수 사이의 대역 밖(통과대역)의 전원 전압을 출력으로 통과시키고, 두 차단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차단대역)에 해당하는 전원 전압이 출력에 이르기 전에 감쇠시킨다. 즉 대역통과 필터와 대역차단 필터는 주파수 영역에서 상반되는 기능을 한다. 대역차단 필터는 대역통과 필터와 같은 파라미터로 특징지어진다. , 두 차단 주파수, 중심 주파수, 대역폭, 품질 지수 가운데 2개만이 독립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그림(a)는 직렬RLC회로이며 회로소자와 연결이 직렬RLC 대역통과 필터와 같다.다만 차이점으로 출력 전압이 인덕터와 커패시터 쌍의 양단 전압으로 정의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똑같은 회로임에도 불구하고 두 가지 다른 필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ω=0일 때[그림(b)],인덕터가 단락 회로처럼 동작하고 커패시터는 개방 회로로 동작하지만,ω=일 때[그림(c)], 인덕터가 개방 회로로 동작하고 커패시터가 단락 회로로 동작한다.

 

 

 

 

직렬RLC 대역차단 필터 회로는 두 가지 통과대역-하나는 낮은 차단 주파수 아래에, 그리고 다른 하나는 높은 차단 주파수 위쪽에 위치한다. -을 갖는다. 2개의 통과대역 사이에는 인덕터와 커패시터가 부호가 반대인 유한한 크기의 임피던스를 갖는다. 주파수가 0으로부터 증가함에 따라, 인덕터의 임피던스는 증가하고 커패시터는 감소한다.

ωL1/ωC에 가까워질수록 입력과 출력 간의 위상천이는 -90°에 가까워지며 ωL1/ωC를 초과하자자마자 위상천이는 +90°로 도약하고,ω가 증가함에 따라 0에 수렴한다.

 

2개의 통과대역 사이의 특정 주파수에서,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임피던스는 같고 부호가 반대이다. 이 주파수에서는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직렬 연결이 단락 회로 이므로, 출력 전압의 크기는 0이 되어야 한다. 이 특정주파수가 직렬RLC 대역차단 필터의 중심 주파수를 의미한다.

 

AND

조향장치

 

정의: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운전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서 임의로 조작할 수 있는 장치

작동:조향핸들을 조작하면 조향기어에 그 회전력이 전달되며 조향기어에 의해 감속하여 앞바퀴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86pixel, 세로 258pixel 원리:현재 조향장치에 적용되는 대부분의 원리는 애커먼 장토식을 따른다.

애커먼(AckermanRudolph)에 의해 발명되고 장토(JeantaudCharles)에 의하여 개량된 원리로, 직진 상태일 때 킹핀(king- pin)과 타이 로드(tierod) 양끝을 연결한 선의 연장선이 뒤 차축의 중심에 교차하도록 되어 있어, 선회할 때 좌우 앞바퀴의 조향각이 자동적으로 차이가 만들어진다. 이는 자동차가 선회할 때 각 바퀴가 옆으로 미끄러지는 것(sideslip)을 방지한다. 따라서 앞뒤바퀴는 어떤 선회상태에서도 중심이 일치되는 원 즉 동심원을 그리게 된다.

 

PART1.조향장치의 구성과 작용

일체차축 방식의 조향기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62pixel, 세로 648pixel 구성요소:조향핸들,조향축,조향기어,피트먼 암,드래그 링크,타이로드,조향너클 암 등으로 구성

 

<작동방식>

조향핸들을 돌리면 그 조작력이 조향축을 거쳐 조향기어로 전달

조향기어에서는 감속하여 섹터 축을 회전시키며,

섹터 축이 회전하면 피트먼 암이 원호운동을 하여 드래그 링크를 앞뒤방향으로 이동

이에 따라, 오른쪽이나 왼쪽 바퀴가 조향너클에 의해 선회하게 되고, 또 타이로드를 통해 반대쪽 바퀴를 선회시켜 진행방향을 변환시킨다.

 

독립차축 방식의 조향기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2.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8pixel, 세로 480pixel 조향핸들,조향축,조향기어,피트먼 암,타이로드 등으로 구성

독립차축 방식의 조향기구에는 드래그 링크가 없으며 타이로드가 둘로 나누어져 있다.

 

 

PART2.컴포넌트 분석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없음9.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0pixel, 세로 313pixel

조향핸들:, 스포크 및 허브로 구성

 

조향축

조향핸들의 회전을 조향기어의 윔으로 전달하는 축

윔과 스플라인을 통하여 자재이음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조향기어와 축을 연결할 때 오차를 완화하고, 도로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조향핸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조향핸들과 축 사이에 탄성체 이음으로 구성

 

조향기어

조향조작력을 증대시켜 앞바퀴로 전달하는 장치이며,

주로 사용되고 있는 형식은 볼-너트 형식과 래크와 피니언 형식이다.

 

1)-너트 형식(순환 볼 형식)

스크루와 너트 사이에 많은 볼들이 있어 조향핸들의 회전을 볼의 동력전달 접촉으로 너트로 전달

작동은 조향핸들이 회전하면 스크루 홈을 이동하여 너트의 한 끝에서 밖으로 나와 안내 튜브를 지나서 다시 스크루 홈으로 들어간다. 볼은 2줄로 나누어 순환하며, 이 순환운동으로 너트는 직선운동을 하고 섹터는 원호운동을 한다. 마모가 적고 큰 하중에 견디기 때문에 대형차에 많이 사용된다.

 

2) 래크와 피니언 형식

조향핸들의 회전운동을 래크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조향하도록 되어 있으며, 조향축 아랫부분에 피니언이 래크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래크는 피니언의 회전운동에 따라 조향기어 내에서 좌우로 직선운동을 하여 그 양끝의 타이로드를 거쳐 좌우의 조향너클 암을 이동시켜 조향한다. 소형, 경량이며 낮게 설치가 가능하여 승용자동차에 많이 사용된다.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직접 조향 휠에 전달되므로 중간에 충격흡수기구를 설치해야한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3.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38pixel, 세로 423pixel 피트먼 암

조향핸들의 움직임을 일체차축 방식 조향기구에서는 드래그 링크로 전달하는 것

그 한쪽 끝에는 테이퍼의 세레이션을 통하여 섹터 축에 설치되고, 다른 한쪽 끝은 드래그 링크나 센터링크에 연결하기 위한 볼 이음으로 되어있다.

 

 

드래그 링크

일체차축 방식 조향기구에서 피트먼 암과 조향 너클 암을 연결하는 로드

드래그 링크는 앞바퀴의 상하운동으로 피트먼 암을 중심을 원호운동을 한다.

양끝의 볼 이음부분에는 도로면의 충격이 조향기어로 전달되지 않도록 스프링이 들어 있다.

 

(6) 타이로드

독립차축 식의 조향기구 중 래크와 피니언 형식의 조향기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향기어와 직접 연결되며, 볼트-너트 형식 조향기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센터링크의 운동을 양쪽 조향 너클 암으로 전달하며, 2개로 나누어져 볼이음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7) 조항너클 암:일체차축 방식 조향기구에서 드래그 링크의 운동을 조향너클로 전달하는 기구

 

(8) 일체차축 방식 조향기구의 앞차축과 조향너클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4.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97pixel, 세로 212pixel

일체차축 방식의 앞차축은 양쪽 끝에 스프링시트가 용접되어 있고,킹핀 설치부분에 킹핀을 통해 조향너클이 설치된다.

조향너클은 킹핀을 통해 앞차축과 연결되는 부분과 바퀴 허브가 설치되는 스핀들 부분으로 되어있어 킹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조향작용을 한다.

앞차축과 조향너클의 설치방식에는 엘리옷형(앞 차축 양끝 부분이 요크로 되어 있음),역 엘리옷형(조향너클에 요크가 설치된 것),마몬형(앞차축 윗부분에 조향너클이 설치된 것),르모앙형(앞차축 아랫부분에 조항너클이 설치된 것)이 있다.

 

(9)킹핀

일체차축 방식 조향기구에서 앞차축에 대해 규정의 각도를 두고 설치되어 앞차축과 조향너클을 연결하며, 고정 볼트에 의해 앞차축에 고정되어 있다.

AND

사용연료에 따른 엔진 분류 및 분석

 

1.가솔린기관

1-1)가솔린 기관의 장단점

장점

디젤 기관에 비하여 시동성과 응답성이 양호하다.

소음 및 진동이 작다.

엔진의 사이즈가 작아 소형차량에 용이하다.

 

단점

연소 방식이 오토 사이클 방식을 사용하기에 압축비를 높일 시 노킹현상이 발생한다.

압축비(압축압력)가 낮으며 열효율이 낮다.

 

1-2)엔진설계

[그림1.가솔린 기관의 연료계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그림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30pixel, 세로 539pixel

 

 

 

 

 

1-2.1)연료탱크(fuel tnak)

[그림2.가솔린 기관의 연료계통_연료탱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2.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45pixel, 세로 229pixel 연료탱크는 연료를 저장하는 것이며 탱크 본체, 연구 파이프, 연료계 센더 유닛 등을 구성되어 있다. 내부에는 주행 중 연료의 출렁거림을 방지하고 동시에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몇 장의 분리관이 용접되어 있다. 탱크 안쪽 면에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청 처리를 하며, 탱크 캡에는 탱크 내부가 진공으로 되어 연료공급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진공밸브가 설치되어있다. 또 연료 이미션 파이프는 연료탱크와 캐니스터 사이를 연결하고 탱크 내에서 발생한 연료 증기를 캐니스터로 흡수시킨다.

 

1-2.2)연료 여과기(fuel filter)

[그림3.가솔린 기관의 연료계통_연료 여과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3.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82pixel, 세로 202pixel

연료에 포함된 수분이나 먼지를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일반적으로 비분해 방식을 사용한다.

 

1-2.3)연료펌프(fuel pump)

연료탱크 밖에 부착하는 것과 탱크 내부에 부착하는 것으로 구분되며 현재는 연료탱크 내부에 부착하는 것이 주로 사용된다.

 

[그림4.가솔린 기관의 연료계통_연료탱크 밖에 부착하는 연료펌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4.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09pixel, 세로 150pixel

페라이트형 전동기가 로터를 회전시켜 연료를 흡입하고 전동기 내부를 연료가 통과하여 체크밸브를 거쳐 배출시킨다.

[그림5.가솔린 기관의 연료계통_연료탱크 내에 부착된 연료펌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5.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34pixel, 세로 246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6.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84pixel, 세로 204pixel

이 방식은 연료압송 작용을 임펠러에 의한다. 전공기와 함께 임펠러가 회전하면 임펠러의 바깥둘레에 있는 임펠러 홈이 연료의 압송 작용을 하여 압력이 가해진 연료가 체크벨브를 거쳐 연료라인으로 보내진다. 이 연료펌프는 로터를 사용하는 형식에 비해 배출 맥동과 소음이 적어 사일런서가 필요없다.

 

1-2.4)연료 압력조절기(fuel pressure regulator)

[그림6.가솔린 기관의 연료계통_연료 압력조절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7.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3pixel, 세로 183pixel 연료 압력 조절기는 흡기 다기관의 부압에 의하여 인젝터에 가해지는 연료 압력이 항상 일정 값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인젝터의 연료 분사량은 인젝터의 통전시간으로 제어하고 있으나 같은 통전시간이라도 연료압력이 높을 때에는 연료 분사량이 증가하고, 연료압력이 낮으면 분사량이 적어진다. 또 연료를 분사하는 장소가 흡기다기관 내이기 떄문에 흡기다기과의 부압이 변화하는 경우 인적터에 가해지는 연료압력이 항상 일정하면 압력차이사 생겨 분사량이 변공한다. 이 때문에 다이어프램의 위아래에 흡기다기관의 부압과 분배 파이프의 연료압력이 가해지도록 되어있다. 만약 위아래의 압력차이가 일정 값 이상이 되면 다이어프램을 밀어 올려 여분의 연료가 리턴파이프를 거쳐 연료탱크로 되돌아간다.

 

1-2.5)인젝터(injector)

[그림7.가솔린 기관의 연료계통_인젝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8.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9pixel, 세로 118pixel 컴퓨터(ECU)에서 보내준 신호를 기초로 하여 각 실린더의 흡기다기관에 연료를 분사하는 부품으로써 솔레노이드 코일, 플런저 및 니들벨브로 구성된다.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흡입되고, 플런처와 일체로 되어 있는 니들밸브가 분사구멍을 열어 분사된다. 연료 분사량은 니블밸브가 열려 있는 시간 즉, 솔레노이드 코일의 토전시간으로 결정된다. 작동시키는 전기회로는 전압제어방식과 전류제어방식이 있다.

 

1)전압제어 방식의 인젝터 회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9.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57pixel, 세로 175pixel 인젝터에 직렬로 저항을 넣어 전압을 낮추어 제어한다. 인젝터에 직렬로 들어 있는 저항은 인젝터의 응답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며 인젝터의 응답성능을 향상시키려면 인젝터 자체의 저장 값을 작게 하면 된다.

 

 

 

2)전류제어 방식의 인젝터 회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10.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00pixel, 세로 199pixel 저항을 없애고, 인젝터에 직접 축전지 전압을 가하여 인젝터의 분사 응답성능을 향상시킨 것이며, 통전시간은 컴퓨터로 제어한다. 플런저가 흡인될 때 큰 전류를 흘려 전류공급이 원하게 하여 분사 응답성능을 향상시킨다.

 

 

1-3)가솔린 기관의 한계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11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4pixel, 세로 275pixel 2->3과정에서 에너지를 얻고 4->1과정에서 에너지를 소비한다.

열효율은 1-(1/ε)^κ-1이며 ε는 압축비를 의미하고 κ는 정압비열/정적비열을 의미한다.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압축비를 높여야하는데 이럴 경우 압축온도가 증가하여 혼합기가 자연발화되어 노킹 등 이상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압축비가 1~6 정도로 낮고 이로인해 열효율이 낮다.

 

 

 

1-4)가솔린 기관의 발전방향

기존의 GDI(Gasoline Direct Injection)방식은 연료를 직접 실린더에 분사하기 때문에 정확한 타이밍에 정확한 양의 연료분사가 가능하며 희박하게 연소시켜 연비를 높일 수 있지만 고옥탄 휘발유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으며 MDIGDI보다 출력을 높일 수 있고 연비를 늘릴수 있으며 배기가스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을 가졌다.

2.LPG기관

2-1)LPG기관의 장단점

장점

연료를 LPG를 사용하기에 가솔린엔진보다 연료비가 저렴하다.

혼합기가 가스상태이기 때문에 실린더에 균일하게 분배가 가능하다.

옥탄가가 높고, 연소의 속도가 느려서 노팅이 적다.

일산화탄소등 유해물질의 발생량이 적다.

연소실 및 점화플러그의 퇴적물이 적어서 엔진의 수명이 길다.

 

단점

연료 보급이 불편하다.

트렁크의 사용 공간이 협소하다.

장시간 정차한 경우,한랭시의 시동이 나쁘다.

가솔린 차보다는 출력이 낮다.

연소실에 가스상태로 흡입되어 용적효율이 낮다.

고압 용기를 사용해 차량 중량이 증가한다.

 

2-2)엔진설계

[그림11.LPG기관의 연료계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1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4pixel, 세로 494pixel

 

 

 

2-2.1)LGP 봄베(bombe)

LPG를 출전하기 위한 고압용기이며, 고압가스용 탄소강판을 원통형으로 용접 제작한다.

봄베 컨테이너 케이스 방식으로는 봄베 전체를 컨테이너로 밀봉시키고 에어 블리더 배출 호스를 대기 중으로 개방시키는 풀 컨테이너와 액상,기상,충전밸브 보스 및 게이지 보스부분을 부분저긍로 밀봉시키고 에어 벤트 호스를 대기 중으로 개방시킨 세미 컨테이너 방식이 있다. 국내에서는 주로 세미 컨테이너 방식을 사용한다.

 

2-2.2)솔레노이드 밸브와 필터

[그림12.LPG기관의 연료계통_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12.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24pixel, 세로 275pixel 필터는 LPG 중에 들어있는 각종 불순물을 여과하는 일을 한다.솔레노이드 밸브는 기관 냉각수 온도가 14도 이하일 때 수온세서의 신호를 받은 컴퓨터가 기상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킨다. 이 밸브를 통하여 봄베로부터 기상회로를 통과한 LPG가 베이퍼라이저로 공급된다. 만약 기관 냉각수 온도가 20도 이상이면 액상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키며 이 밸브를 통하여 봄베로부터 액상회로를 통과한 LPG가 베이퍼라이저로 공급된다.

 

+)긴급차단 솔레노이드 밸브

[그림13.LPG기관의 연료계통_긴급차단 솔레노이드 밸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13.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19pixel, 세로 143pixel 기관 롬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으나 단지 액상 및 기상 통로가 각각 분리된 구조로써 자동차 주행 중 돌발사고로 인해 기관의 작동이 정지하면 기관 컴퓨터는 기관 롬에 설치된 액상 및 기상 솔레노이드 밸브와 긴급 차단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차단하여 솔레노이드 계통의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LPG 부출 방치를 봄베의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차단하여 미연에 화재 위험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2.3)베이퍼라이저[Vaporizer)

감압,기화,압력조절 등의 기능을 하며, 봄베로부터 압송된 높은 압력의 LPG를 베이퍼라이저에서 압력을 낮춘 다음 기체 LPG로 기화시켜 기관 출력 및 연료 소비량에 만족할 수 있도록 압력을 조절한다. LPG는 액체상태에서 기체로 될 때 주위에서 증발잠열을 빼앗아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베이퍼라이저의 밸브를 동결시킬 수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지 위해 베이퍼라이저 내에 냉각수 통로를 설치하고 냉각수를 순환시켜 기화에 필요한 열을 공급한다.

[그림13.LPG기관의 연료계통_베이퍼라이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14.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2pixel, 세로 416pixel

 

2-3)LPG 기관의 한계점

LPG는 온도에 따라 부피가 바뀌어서 겨울철(한랭)에 시동이 잘 걸리지 않으며 가솔린 엔진에 비하여 낮은 출력을 가진다.

 

2-4)LPG 기관의 발전방향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114.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02pixel, 세로 273pixel

현재 트랜드는 겨울철 시동이 잘 안걸리는 문제와 낮은 출력을 해결하기 위해 LPI 엔진을 사용한다. LPI엔진은 액체상태 연료를 사용하며 LP는 기체상태 연료를 사용하는 차이점이 있으며 LPG 문제점을 가솔린이나 디젤처럼 연료를 엔진에 바로 분사하여 개선한 방식이다. 이로인해 겨울철 시동 성능 향상, 고압 액체상태로 분사하여 타르 생성 문제 개선, 가솔린 기관과 같은 수준의 동력성능 발휘의 장점을 가진다.

3.디젤기관

3-1)디젤 기관의 장단점

장점

연소방식이 복합사이클 방식을 사용하기에 가솔린기관보다 압축비을 높일 수 있다.

넓은 회전속도 범위에서 회전력이 크다.

대출력이 가능하다

인료의 인화점이 높아 화재 위험이 낮다.

수명이 길다.

열효율이 좋다.

연료소비율이 적다.

 

단점

가솔린 기관에 비하여 시동성과 응답성이 나쁘며 소음 및 진동이 크다.

엔진의 중량이 무겁다.

질소 산화물 및 입자상 물질의 배출 입자상 물질의 배출 비율이 높다.

비출력이 낮다.

전동기의 출력이 커야한다.

회전속도 범위가 좁다.

회전수가 높을수록 마찰에 의한 동력상실이 크게 발생한다.

 

3-2)엔진설계

[그림14.디젤기관의 연료계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20.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6pixel, 세로 316pixel

디젤기관의 기계식 연료장치의 연료공급은 공급펌프에서 연료탱크 내의 연료를 흡입한 후 압력을 가하여 여과기에서 여과시킨 후 분사펌프로 공급한다.

 

3-2.1)연료 공급 펌프(fuel feed pump)

[그림15.디젤기관의 연료계통_연료 공급 펌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2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62pixel, 세로 167pixel 연료탱크 내의 연료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분사펌프로 공급하는 장치로 분사펌프 옆에 설치되어 분사펌프 캠축에 의하여 구동된다. 연료 공급장치의 공기빼기 작업 및 공급펌프를 수동으로 작동시켜 연료탱크 내의 연료를 분사펌프까지 공급하는 프라이밍 펌프를 두고 있다.

 

3-2.2)연료여과기(fuel filter)

[그림16.디젤기관의 연료계통_연료여과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22.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80pixel, 세로 192pixel

연료 속에 들어있는 먼지와 수분을 제거 분리한다. 구조는 보디, 엘리먼트, 중심 파이프, 커버, 오버플로 밸브, 드레인 플러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엘리먼트는 여과지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3-2.3)분사펌프(injection pump)

[그림17.디젤기관의 연료계통_분사펌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23.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7pixel, 세로 328pixel 연료 공금펌프에서 보내준 연료를 분사펌프 캠축으로 구동되는 플런저가 분사순서에 맞추어 고압으로 펌프작용을 하여 분사노즐로 압송시켜 주는 장치이다.

위쪽에는 딜리버리 밸브와 그 홀더가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플런저 배럴, 플런저, 제어 래크, 제어 피니언, 제어슬리브, 스프링, 태핏 등이, 아래쪽에는 캠축이 설치되어 있다.

 

 

 

 

3-2.4)딜리버리 밸브(delivery valve)

[그림18.디젤기관의 연료계통_딜리버리 밸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30.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17pixel, 세로 137pixel 플런저의 상승행정으로 플런저 배럴 내의 압력이 규정 값에 도달하면 이 밸브가 열려 연료를 분사파이프로 압송한다. 그리고 플런저의 유효행정이 완료되어 배럴 내의 연료압력이 낮아지면 스프링 장력에 의해 신속히 닫혀 연료의 역류를 방지한다. 또 밸브 면이 시트에 밀착될 때까지 내려가므로 그 체적만큼 분사 파이프 내의 연료압력을 낮춰 분사노즐의 후적을 방지한다.

 

3-2.5)조속기(governor)

디젤기관은 사용조건의 변화가 커 부하 및 회전속도 등이 광범위하게 변동하므로 오버런이나 기관정지를 일으키기 쉬운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사펌프에 조속기를 두고 자동적으로 분사량을 가감하여 운전을 안정시킨다. , 최고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동시에 지속운전을 안전시키는 작용을 한다. 분사펌프의 캠축에 설치된 원심추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변화에 의해 작동하는 기계식과 회전속도와 부하에 의해 변화하는 흡기다기관 부압을 이용하는 공기식이 있다.

 

3-3)디젤 기관의 한계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113.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47pixel, 세로 177pixel D->A 과정에서 에너지를 얻고 B-C 과정에서 에너지를 소비한다. 열효율은 1-(1/ε)^κ-1*{σ^κ -1/κ(σ-1)}이며 σ는 단절비를 의미한다. 이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오토사이클의 효율에 근접하며 같은 압축비에서는 오토사이클보다 효율이 떨어지지만 가솔린기관과는 달리 압축비를 늘렸을 때 압축온도의 증가에 따른 노킹현상의 발생이 없기 때문에 보다 열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압축비가 커진 만큼 압력이 높아져서 구조적인 강도를 위해 중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3-4)디젤 기관의 발전방향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115.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49pixel, 세로 297pixel 기존의 디젤엔진은 정압사이클을 사용하였고 현재는 커먼레일 시스템을 결합시킨 복합사이클을 사용하고 있다. 정적과정과 정압과정에서 에너지를 얻고 4->1과정에서 에너지를 소비한다. 열효율은 1-(1/ε)^κ-1*[α*σ^κ -1/{ (α-1)+κα(σ-1)로써 ,α는 압력상승비를 의미한다. 이는 기존의 디젤 기관이 저속해서만 사용가능했던 문제점을 해결했다.

4.전기자동차:석유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않고 전기배터리+전기모터를 사용

4-1)전기자동차의 장단점

장점

주행시 이산화탄소와 질소산화물을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기름값,서비스 비용 및 유지비가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적게 든다.

부품수가 적고 내연기관이 없어 고장 빈도가 낮다.

엔진소음의 감소로 쾌적하고 정숙한 주행이 가능하다.

차량제어가 쉽고 자율주행과 같은 소프트웨어 컨트롤에 용이하다.

에너지효율이 높아 차량 수명이 일반 내연기관 차에 비해 길다.

 

단점

배터리 1회 충전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가 한정적이다.

전지 배터리 수명과 교환에 관한 불편함하다.

국내 전기차 편의시설과 전기충전소 인플가 부족하다.

다소 비싼 차량 가격을 정부 및 지자체 보조금 지원이 필요하다.

 

4-2)전기자동차의 구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180328_131500.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01pixel, 세로 2898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8년 03월 28일, 오후 13:15

 

4-2.1)전지:리튬 이온 전지,리튬 폴리머 전지,공기 아연 전지등을 사용

4-2.2)모터:구동바퀴 모터-효율이 높음/고출력화와 경량 및 소형화에 경향을 보임

 

4-2.3)인버터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써 교류모터의 경우는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바꿔주며 전압을 조절해야하므로 인버터가 필요하다.

직류전압을 조절하는 방법은 저항을 만들어주는 것이지만 에너지손실이 많아 보다 효율이 높은 반도체 소자가 개발되는 추세,주된 원리는 전력용 반도체를 사용하여 상용 교류전원을직류전원으로 변환 시킨 후,다시 임의의 주파수와 전압의 교류로 변환시켜 유도전동기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4-2.4)DC/AC 컨버터

구동모터에서는 수백볼트의 고전압을 필요로 하지만 보조기기에서는 12V의 저전압이 사용

전지에서 얻은 직류전압을 조정하는 장치

 

4-2.5)IGBT모듈(KEC):대전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대전력 스위칭 및 제어용 파워모듈

4-2.6)PCU(Power Control Unit):인버터와 컨터버 등을 묶어서 하나의 모듈로 만들어 사용

4-2.7)ECU(Electronic Control Unit):각 부문에는 추가로 ECU필요

4-2.8)각종 X by Wire:현재의 벨트식 구동을 모터로 대체하여

제어하는 전선으로 연결되는 각종 시스템

4-2.9)BLDC모터:각종 소형 일반모터로 사용, 과거에는 직류모터를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교류모터나 브러시리스 모터등을 사용

4-2.10)변속기:인휠 방식일 경우에는 필요없음

 

4-3&4)전기자동차의 한계점&전기자동차의의 발전방향

문제점

주요요인

대책

높은 코스트

초기비용

수요가 적고 소량생산

본격 보급시까지 숭개척

생산방법 재검토

전지수명이 짧음

전지의 수명연장

짧은 충전거리와

잦은 충전빈도

전지중량이 무겁고 전지적재량 제한

단위 중량당 축전가능향에 한계

단위중량당 축전가능량의 중대 연구

카세트 전기교환식 등의 외부지원시스템 지원

최고속/가속성 열세

전지중량당 최대출력 소

모터 제어기능이 불충분

좌동의 개선연구

전지잔존용량 성능부족

용량계성능 불충분

용량계 신뢰도 향상연구

전지의 적정관리 난이

카세트 전지의 경우 전문서비스 관리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O 26262(자동차 기능 안전성)  (0) 2018.06.07
배기가스 법규(Emission regulation)  (0) 2018.06.07
조향 장치  (0) 2018.05.10
자동차 시스템의 발전방향  (0) 2018.05.10
AND

ARTICLE CATEGORY

분류 전체보기 (27)
전력전기전자 (1)
건강정보 (4)
잡다한 지식 (2)
자동차 (5)
IT (3)
리눅스 (1)
네트워크 (3)
프로그래밍 언어 (4)
웹 지식(ver22년도) (3)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CALENDAR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